맨위로가기

루도비코 3세 곤차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도비코 3세 곤차가는 잔프란체스코 1세 곤차가와 파올라 말라테스타의 아들로, 1432년부터 콘도티에로로 활동했다. 1433년 바르바라 폰 브란덴부르크와 결혼했으며, 1444년 만토바 후작령을 계승했으나 영토 분쟁을 겪었다. 그는 밀라노, 피렌체, 베네치아, 나폴리 등에서 콘도티에로로 활동하며 외교적 관계를 맺었고, 1459년 만토바 공의회를 개최하여 위상을 높였다. 루도비코 3세는 르네상스 인문주의 교육을 받았고, 예술과 건축을 후원했으며, 1478년 고이토에서 사망했다. 그는 14명의 자녀를 두었으며, 딸들의 건강 문제로 인해 결혼에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만토바 변경백 - 페데리코 1세 곤차가
    페데리코 1세 곤차가는 루도비코 3세 곤차가의 아들이자 안드레아 만테냐와 친분을 쌓고 비토리노 다 펠트레 등에게 교육을 받았으며, 1478년부터 만토바 후작을 지내고 밀라노 공국 스포르차 가문을 위해 활동하며 베네치아 공화국과의 전투에서 공을 세운 용병대장이다.
  • 만토바 변경백 - 프란체스코 1세 곤차가
  • 만토바도 출신 - 베르길리우스
    베르길리우스는 《아이네이스》, 《농경시》, 《목가》 등의 작품으로 유명한 고대 로마의 시인으로, 아우구스투스 황제의 후원을 받았으며, 그의 작품은 후대 서구 문학과 예술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만토바도 출신 - 페데리코 1세 곤차가
    페데리코 1세 곤차가는 루도비코 3세 곤차가의 아들이자 안드레아 만테냐와 친분을 쌓고 비토리노 다 펠트레 등에게 교육을 받았으며, 1478년부터 만토바 후작을 지내고 밀라노 공국 스포르차 가문을 위해 활동하며 베네치아 공화국과의 전투에서 공을 세운 용병대장이다.
  • 1412년 출생 - 정소공주
    정소공주는 조선 세종의 첫째 딸로, 1412년에 태어나 공주로 봉해졌으나 1424년 완두창으로 사망했다.
  • 1412년 출생 - 희령군
    희령군은 조선 태종의 열 번째 아들로, 이름은 타이며, 1433년에 군에 봉해졌고, 어린 나이에 사망하여 세조가 예장으로 장례를 치르도록 명할 정도로 안타까움을 자아냈다.
루도비코 3세 곤차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만토바 궁정, 세부 사항: 만토바 후작 루도비코 3세 곤차가
만토바 궁정, 세부 사항: 만토바 후작 루도비코 3세 곤차가
이름루도비코 3세 곤차가
별칭il Turco (튀르크인)
작위만토바 후작
재위 기간1444년 - 1478년
출생일1412년 6월 5일
출생지만토바, 만토바 변경백국
사망일1478년 6월 12일
사망지고이토, 만토바 변경백국
배우자브란덴부르크의 바르바라 (1423–1481)
가문곤차가 가문
아버지잔프란체스코 1세 곤차가
어머니파올라 말라테스타
자녀
자녀 목록페데리코 1세 곤차가
프란체스코 곤차가 (1444–1483)
잔프란체스코 곤차가 (1446–1496)
도로테아 곤차가
로돌포 곤차가
바르바라 곤차가 (1455–1503)

2. 생애

루도비코 3세는 잔프란체스코 1세 곤차가와 파올라 말라테스타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는 아버지의 뒤를 이어 어린 나이부터 콘도티에로(용병대장)로 활동했다. 1432년에는 아버지 잔프란체스코가 프란체스코 부소네 군대의 부사령관이었다.[11] 1433년, 신성 로마 황제 지기스문트의 질녀[14]인 바르바라 폰 브란덴부르크와 혼인하였다.[10]

1436년, 아버지의 허락 없이[14] 밀라노 공국의 비스콘티 가문 휘하에 들어갔다. 이로 인해 아버지 잔프란체스코는 아들과 며느리를 만토바에서 추방하고, 카를로 곤차가를 후계자로 지명하였다.[11] 그러나 1438년 잔프란체스코가 비스콘티 가문에 고용되면서 1441년에 아들을 용서하였다.

1444년, 루도비코 3세는 만토바 변경백 자리를 계승했지만,[12] 가문의 영지 일부를 그의 형제들인 카를로, 잔루시도, 알레산드로에게 넘겨주었다.[14] 당시 만토바 변경백국은 영토가 감소하고 전쟁과 과도한 확장 등으로 인해 상태가 좋지 못했다.[11]

1445년부터 1450년까지 루도비코 3세는 밀라노, 피렌체, 베네치아, 나폴리 왕국 등에서 콘도티에로로 활동하며 충성을 바꾸었다.[14] 1448년 카라바조 전투에 참여했다가 퇴각했고, 1449년에는 베네치아 소속으로 피렌체 공화국이 결성한 동맹에 합류했다. 1450년, 롬바르디아에서 일부 이권을 얻기 위해 나폴리의 알폰소의 군대 지휘권을 받았다.

그러나 밀라노의 새로운 공작 프란체스코 1세 스포르차는 로나토, 페스키에라, 아솔라를 주겠다고 약속하며 루도비코 3세를 유혹했다. 베네치아는 카스틸리오네델레스티비에레를 약탈하고(1452) 루도비코 3세의 동생 카를로를 고용하여 대응했다.[12]

1453년, 루도비코 3세는 고이토에서 카를로의 군대를 격파했지만,[12] 니콜로 피치니노가 이끄는 베네치아군은 아솔라 회복 시도를 좌절시켰다. 로디 조약으로 루도비코 3세는 정복지에서 철수하고 세 도시에 대한 소유권 주장을 포기해야 했다.[12] 하지만 1456년 카를로가 사망하자 그의 영토를 획득했다.

교황 비오 2세오스만 제국에 대항하는 십자군 원정을 위해 소집한 만토바 공의회는 1459년 5월 27일부터 1460년 1월 19일까지 만토바에서 열렸다.[13] 이 공의회는 루도비코 3세에게 큰 명성을 안겨주었으며, 그의 아들 프란체스코가 추기경으로 임명되는 계기가 되었다. 교황 비오 2세는 만토바의 환경에 만족하지 못하고 "그곳은 습하고 건강에 해로웠으며, 더위가 모든 것을 태웠고, 와인은 맛이 없었고 음식은 불쾌했다."라고 기록했다.[13]

1466년부터 루도비코 3세는 밀라노의 스포르차 가문을 위해 계속 복무했다. 그는 1478년 고이토에서 질병으로 사망하여 만토바 대성당에 매장되었다.[12]

루도비코 3세 곤차가의 주화 (1475).

2. 1. 초기 생애와 가문

잔프란체스코 1세와 말라테스타 가문 출신 파올라 말라테스타 사이에서 태어났다.[11]

어린 시절부터 아버지의 뒤를 이어 콘도티에로(용병대장)로 활동했다. 1432년에는 아버지 잔프란체스코가 프란체스코 부소네 군대의 부사령관이었다.[11] 1433년에는 신성 로마 황제 지기스문트의 질녀[14]인 바르바라 폰 브란덴부르크와 혼인하였다.[10]

1436년, 아버지의 허락을 받지 않고[14] 밀라노 공국의 비스콘티 가문 휘하에 들어갔다. 이로 인해 아버지 잔프란체스코는 아들과 며느리를 만토바에서 추방하고, 카를로 곤차가를 후계자로 지명하였다.[11] 그러나 1438년 잔프란체스코가 비스콘티 가문에 고용되면서 1441년에 아들을 용서하였다.

1444년, 루도비코 3세는 만토바 변경백 자리를 계승했지만,[12] 가문의 영지 일부를 그의 형제들인 카를로, 잔루시도, 알레산드로에게 넘겨주었다.[14] 당시 만토바 변경백국은 영토가 감소하고 전쟁과 과도한 확장, 전쟁으로 인해 상태가 좋지 못했다.[11]

잔프란체스코 1세 곤차가.


안토니오 피사노(또는 피사넬로, Antonio Pisano [Pisanello])가 그린 루도비코 3세 곤차가의 초상 메달, 1395 Pisa - 1455 Rome (obverse).

2. 2. 권력 승계와 영토 분쟁

루도비코는 잔프란체스코 1세 곤차가와 파올라 말라테스타의 아들로, 1444년에 만토바 변경백 자리를 계승했다.[12] 그는 아버지의 뒤를 이어 어린 나이부터 콘도티에로로 활동했다.[11] 1433년에는 신성 로마 황제 지기스문트의 질녀[14]인 브란덴부르크의 바르바라[10]와 혼인하였다.

1436년, 루도비코는 밀라노 공국의 비스콘티 가문 밑에서 일하기 시작했다.[14] 이로 인해 아버지 잔프란체스코 1세는 그를 만토바에서 추방하고 카를로 곤차가를 후계자로 지명했지만,[11] 1441년에 루도비코를 용서했다.

루도비코 3세는 만토바 변경백 자리를 계승했지만,[12] 가문의 영지 일부를 그의 형제들인 카를로, 잔루시도, 알레산드로에게 넘겨주어야 했다.[14] 당시 만토바 변경백국은 영토가 감소하고 상태가 좋지 못했다.[11]

1445년부터 1450년까지 루도비코 3세는 밀라노, 피렌체, 베네치아, 나폴리 왕국 등에서 콘도티에로로 활동하며 충성을 바꾸었다.[14] 1448년 카라바조 전투에 참여했다가 퇴각했고, 1449년에는 베네치아 소속으로 피렌체 공화국이 결성한 동맹에 합류했다. 1450년, 그는 롬바르디아에서 일부 이권을 얻기 위해 나폴리의 알폰소의 군대 지휘권을 받았다.

그러나 밀라노의 새로운 공작 프란체스코 1세 스포르차는 로나토, 페스키에라, 아솔라를 주겠다고 약속하며 루도비코 3세를 유혹했다. 베네치아는 카스틸리오네델레스티비에레를 약탈하고(1452) 루도비코 3세의 동생 카를로를 고용하여 대응했다.[12]

1453년, 루도비코 3세는 고이토에서 카를로의 군대를 격파했지만,[12] 니콜로 피치니노가 이끄는 베네치아군은 아솔라 회복 시도를 좌절시켰다. 로디 조약으로 루도비코 3세는 정복지에서 철수하고 세 도시에 대한 소유권 주장을 포기해야 했다.[12] 하지만 1456년 카를로가 사망하자 그의 영토를 획득했다.

2. 3. 콘도티에로 활동과 외교

잔프란체스코 1세 곤차가의 아들인 루도비코는 아버지의 뒤를 이어 어린 나이부터 콘도티에로로 활동했다. 1432년, 그는 프란체스코 부소네 군대의 부사령관이었던 아버지 밑에서 콘도티에로 생활을 시작했다.[11] 1433년에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지기스문트의 질녀인 브란덴부르크의 바르바라와 혼인했다.[10]

1436년, 루도비코는 아버지의 허락을 받지 않고 밀라노 공국의 비스콘티 가문 밑에서 일하기 시작했다.[14] 이로 인해 아버지 잔프란체스코 1세 곤차가는 루도비코와 그의 아내를 만토바에서 추방하고, 카를로 곤차가를 후계자로 지명했다.[11] 그러나 1438년 잔프란체스코 1세가 비스콘티 가문에 고용되면서 1441년에 아들을 용서했다.

1444년, 루도비코 3세는 만토바 변경백 자리를 계승했지만,[12] 가문의 영지 일부를 그의 형제들인 카를로, 잔루시도, 알레산드로에게 넘겨주어야 했다.[14] 당시 만토바 변경백국은 영토가 감소하고 전쟁과 과도한 지출로 인해 어려운 상황이었다.[11]

1445년부터 1450년까지 루도비코 3세는 밀라노, 피렌체, 베네치아, 나폴리 왕국 사이에서 콘도티에로로 활동하며 자신의 영토에 평화를 보장하기 위해 충성 대상을 바꾸었다.[14] 1448년 카라바조 전투에 참여했다가 퇴각해야 했고, 1449년에는 밀라노에 대항하는 피렌체 공화국베네치아 공화국 동맹에 베네치아 소속으로 참전했다. 1450년에는 롬바르디아에서 일부 이권을 얻기 위해 나폴리의 알폰소 5세의 군대 지휘권을 받았다.

그러나 밀라노의 새로운 공작 프란체스코 1세 스포르차는 루도비코에게 로나토, 페스키에라, 아솔라를 주겠다고 약속하며 베네치아와의 동맹을 끊도록 유도했다. 이 세 도시는 원래 만토바의 영토였으나 당시에는 베네치아의 영토였다. 이에 베네치아는 1452년 만토바 영토였던 카스틸리오네델레스티비에레를 약탈하고 루도비코 3세의 동생인 카를로를 고용하여 대응했다.[12]

1453년 6월 14일, 루도비코 3세는 고이토에서 카를로의 군대를 크게 무찔렀지만,[5] 니콜로 피치니노가 이끄는 베네치아 군대는 루도비코 3세의 아솔라 회복 시도를 좌절시켰다. 1454년 로디 조약으로 루도비코 3세는 정복한 모든 영토를 반환하고 세 도시에 대한 소유권 주장을 포기해야 했다.[12] 하지만 1456년 카를로가 자식 없이 사망하면서 그의 영토를 획득했다.

1459년 5월 27일부터 1460년 1월 19일까지 교황 비오 2세오스만 제국에 대한 십자군 원정을 준비하기 위해 소집한 만토바 공의회가 열렸다. 비록 교황은 개최 장소에 만족하지 않았지만, 이 공의회는 루도비코 3세에게 큰 명성을 안겨주었고, 그의 아들 프란체스코가 추기경으로 임명되는 계기가 되었다.[13]

1466년부터 루도비코 3세는 밀라노의 스포르차 가문을 위해 계속 복무했다. 그는 1478년 고이토에서 질병으로 사망하여 만토바 대성당에 매장되었다.[12]

2. 4. 만토바 공의회와 십자군

교황 비오 2세오스만 제국에 대항하는 십자군 원정을 위해 소집한 만토바 공의회는 1459년 5월 27일부터 1460년 1월 19일까지 만토바에서 열렸다.[13] 이 공의회는 루도비코 3세에게 큰 명성을 안겨주었으며, 그의 아들 프란체스코가 추기경으로 임명되는 계기가 되었다.[13]

하지만 교황 비오 2세는 만토바의 환경에 만족하지 못했다. 그는 "그곳은 습하고 건강에 해로웠으며, 더위가 모든 것을 태웠고, 와인은 맛이 없었고 음식은 불쾌했다."라고 기록했다.[13]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토바 공의회는 루도비코 3세의 개인적인 위상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2. 5. 스포르차 가문과의 관계 및 사망

루도비코 3세는 아버지 잔프란체스코 1세 곤차가의 뒤를 이어 1432년부터 콘도티에로(용병대장)로 활동했다.[11] 1436년에는 밀라노 공국의 비스콘티 가문 밑에서 일했으나, 아버지의 반대로 아내와 함께 만토바에서 추방되기도 했다.[11] 이후 1438년 아버지가 비스콘티 가문에 고용되면서 1441년에 루도비코와 화해했다.

1444년 만토바 변경백 자리를 계승한 후,[12] 1445년부터 1450년까지 밀라노, 피렌체, 베네치아, 나폴리 왕국 사이에서 충성 대상을 바꾸며 콘도티에로로 활동했다.[14] 1450년, 프란체스코 1세 스포르차는 루도비코에게 로나토, 페스키에라, 아솔라를 주겠다고 약속하며 동맹을 맺도록 유도했다. 이에 베네치아는 카스틸리오네델레스티비에레를 약탈하고(1452) 루도비코 3세의 동생인 카를로 곤차가를 고용하여 대응했다.[12]

1453년 6월 14일, 루도비코 3세는 고이토에서 카를로의 군대를 격파했지만,[12] 니콜로 피치니노가 이끄는 베네치아군은 아솔라를 회복하려는 그의 시도를 좌절시켰다. 로디 조약으로 루도비코 3세는 모든 정복지에서 철수해야 했지만,[12] 1456년 카를로가 자식 없이 사망하자 그의 영토를 획득했다.

1466년부터 루도비코 3세는 밀라노의 스포르차 가문을 위해 복무했다. 그는 1478년 고이토에서 질병으로 사망하여 만토바 대성당에 매장되었다.[12]

3. 교육과 문화 후원

루도비코 3세는 비토리노 다 펠트레에게 교육받았으며, 그의 가르침은 도덕과 종교에 중점을 두었다. 미술 학자 프랑코 보르시는 루도비코 3세의 종교적 믿음과 인본주의 문화에 대한 관심이 만토바의 공공사업 증가로 이어졌다고 주장한다.[13]

루도비코 3세는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 안드레아 만테냐와 같은 유명 인문주의자들을 만토바로 초청했다.[13] 또한 필라레테가 저술한 《건축에 관한 논문》에 등장한다.[14]

피사넬로의 메달, 1447년경

3. 1. 르네상스 인문주의 교육

루도비코 3세는 아버지의 명에 따라 인문주의자 비토리노 다 펠트레에게 교육받았다. 비토리노는 "공동체의 이익을 위해... 훌륭한 군주의 교육은 그가 다스리는 백성에게 이익이 될 것이므로 어려운 일을 시작했다"라고 가르쳤다. 그 가르침은 도덕과 종교에 두드러졌고 "세속적 금욕주의의 기운"을 담고 있었다.[13] 미술 학자 프랑코 보르시는 이것이 루도비코 3세가 교회를 세우고 교황 비오 2세의 공의회를 주최하도록 이끈 종교적 믿음뿐만 아니라, 포장 도로와 시계탑 건설에서 도시 중심부 재정비에 이르기까지 만토바 도시 전반의 인문주의적 문화와 공공 사업에 대한 관심을 설명한다고 주장한다.[13]

만토바에 초청된 유명한 인문주의자 중에는 성 세바스티노 교회와 성 안드레아 교회를 설계한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가 있었다. 또한 1460년에 루도비코 3세는 안드레아 만테냐를 곤차가 가문의 궁정 화가로 임명했다.[13]

루도비코 3세는 필라레테로 더 잘 알려진 피렌체의 조각가 겸 건축가인 안토니오 디 피에트로 아베를리노(c. 1400 – c. 1469)가 저술한 《건축에 관한 논문》에 등장한다.[14]

3. 2. 예술 후원과 건축

루도비코 3세는 아버지의 명에 따라 인본주의자 비토리노 다 펠트레에게 교육받았다. 비토리노는 "공동체의 이익을 위해... 훌륭한 군주의 교육은 그가 다스리는 백성에게 이익이 될 것이므로 어려운 일을 시작했다"라고 가르쳤다. 그 가르침은 도덕과 종교에 두드러졌고 "세속적 금욕주의의 기운"을 담고 있었다.[13] 미술 학자 프랑코 보르시는 루도비코 3세가 종교적 믿음으로 교회들을 건립하고 교황 비오 2세의 공의회를 주최했을 뿐만 아니라, 인본주의 문화와 거리에 도로를 정비하고 도시 중심지에 시계탑을 건설하는 등 만토바에 공공사업을 증가시키는 것에 관심을 가졌다고 주장한다.[13]

루도비코 3세는 만토바에 유명한 인문주의자들을 초청했는데, 그중에는 산 세바스티아노 교회와 산 안드레아 교회를 설계한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가 있었다. 또한 1460년에 루도비코 3세는 안드레아 만테냐를 곤차가 가문의 궁정 예술가로 임명했다.[13]

루도비코 3세는 필라레테로 더 잘 알려진 피렌체의 조각가 겸 건축가인 안토니오 디 피에트로 아베를리노(c. 1400 – c. 1469)가 저술한 《건축에 관한 논문》에 등장한다.[14] 이 논문은 플라톤식 대화 형태를 갖추고 있으며, 후한 후원자(분명히 밀라노의 프란체스코 스포르차일 것으로 추정)를 위해 새로운 도시를 짓는 무명의 건축가(아마도 필라레테 본인으로 추정)가 등장한다.

3. 3. 건축 논문에서의 등장

루도비코 3세는 필라레테로 더 잘 알려진 피렌체의 조각가 겸 건축가인 안토니오 디 피에트로 아베를리노(c. 1400 – c. 1469)가 저술한 《건축에 관한 논문》에 등장한다.[14] 이 논문은 플라톤식 대화 형태를 갖추고 있으며, 후한 후원자(분명히 밀라노의 프란체스코 스포르차일 것으로 추정)를 위해 새로운 도시를 짓는 무명의 건축가(아마도 필라레테 본인으로 추정)가 등장한다.

4. 가족

루도비코 3세는 잔프란체스코 1세 곤차가와 파올라 말라테스타의 아들로, 1433년 바르바라 폰 브란덴부르크와 결혼했다.[1] 바르바라는 황제 지기스문트의 조카였다.[1]

루도비코 3세와 바르바라 사이에는 14명의 자녀가 있었으며, 그 외에 카테리나, 가브리엘라 두 명의 사생아 딸이 있었다.

4. 1. 자녀

루도비코 3세와 바르바라 폰 브란덴부르크는 14명의 자녀를 두었다.[9]

이름출생사망비고
페데리코1438년경유아기
마달레나1439년경유아기
엘리사베타1440년경유아기
페데리코 1세1441년1484년만토바 후작; 바이에른의 마르가레테와 결혼.
프란체스코1444년1483년교황 비오 2세에 의해 추기경으로 임명됨.
파올라 비안카1445년1447년유아기 사망.[9]
잔프란체스코1446년1496년사비오네타 백작이자 보촐로 영주; 안토니아 델 발초와 결혼.
수산나1447년1481년만토바의 산타 파올라 수녀.[9]
도로테아1449년1467년밀라노 공작 갈레아초 마리아 스포르차와 결혼.[9]
체칠리아1451년1472년만토바의 산타 키아라 수녀.[9]
로돌포1452년1495년카스틸리오네 델레 스티비에레, 솔페리노, 수차라, 포빌리오 영주;[9] 그의 증손자는 알로이시오 곤차가였다.
바르바라1455년1503년1474년 뷔르템베르크 공작 에버하르트 1세와 결혼[9]
루도비코1460년1511년만토바 주교.[9]
파올라1463년1497년고리치아 백작 레온하르트와 결혼.[9]



루도비코 3세는 또한 두 명의 사생아 딸을 두었다.


  • 카테리나 (잔프란체스코 세코, 칼초 백작의 아내)
  • 가브리엘라 (코라도 포글리아니, 비기촐로 후작의 아내)


바르바라와 루도비코 3세의 딸들은 곱사등이었기 때문에, 수산나는 갈레아초 마리아 스포르차에게 거절당했으며, 도로테아와의 결혼은 밀라노 궁정에서 그녀의 신체적 문제가 언니만큼 유명하지 않다고 판단할 때까지 연기되었다. 고리치아 백작 레온하르트도 이 때문에 파올라와의 결혼을 미뤘고, 결국 결혼했을 때 사산아를 낳았는데, 이는 그녀의 기형으로 인해 아이를 갖기가 더 어려웠기 때문으로 여겨진다.[9]

4. 2. 사생아

루도비코 3세 곤차가는 사생아가 아니었다. 그는 잔프란체스코 1세 곤차가와 파올라 말라테스타 사이에서 태어난 적자였다.

4. 3. 자녀들의 건강 문제

루도비코 3세와 그의 아내 바르바라 폰 브란덴부르크 사이에서 태어난 딸들 중 일부는 곱사등이라는 신체적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이 때문에 밀라노 공작 갈레아초 마리아 스포르차는 수산나와의 혼담을 거절했고, 도로테아와의 결혼은 그녀의 신체적 문제가 언니만큼 심각하지 않다는 판단이 내려질 때까지 연기되었다.[9]

고리치아 백작 레온하르트 역시 파올라와의 결혼을 망설였는데, 결국 결혼 후 사산아를 낳았다. 이는 파올라의 신체적 기형으로 인해 아이를 갖기 어려웠기 때문으로 추정된다.[9]

참조

[1] 간행물 Diocese of Mantua
[2] 서적 I Gonzaga Dall'Oglio
[3] 웹사이트 LUDOVICO III Gonzaga, marchese di Mantova http://www.treccani.[...] Istituto Enciclopedico Italiano 2013-06-17
[4] 웹사이트 Note biografiche di Capitani di Guerra e di Condottieri di Ventura operanti in Italia nel 1330 - 1550 http://www.condottie[...] 2011-01-31
[5] 문서 Compendio cronologico-critico della Storia di Mantova, dalla sua fondazione sino ai nostri tempi Francesco Agazzi
[6] 웹사이트 Biblioteca Teresiana - Viewer http://digilib.bibli[...] 2016-08-18
[7] 서적 Leon Battista Alberti Harper & Row
[8] 문서 "Filarete's Treatise on Architecture; Being the Treatise by Antonio di Piero Averlino, Known as Filarete." Yale University Press
[9] 문서 The Princess of Mantua Hesperus Press
[10] 서적 I Gonzaga Dall'Oglio
[11] 웹인용 LUDOVICO III Gonzaga, marchese di Mantova http://www.treccani.[...] Istituto Enciclopedico Italiano 2013-06-17
[12] 웹인용 Note biografiche di Capitani di Guerra e di Condottieri di Ventura operanti in Italia nel 1330 - 1550 http://www.condottie[...] 2011-01-31
[13] 서적 Leon Battista Alberti Harper & Row
[14] 문서 "Filarete's Treatise on Architecture; Being the Treatise by Antonio di Piero Averlino, Known as Filarete." Yale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